• 통큰쿠폰이벤트-통합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교육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Paulo Freire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정*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4.06.09
최종 저작일
2011.06
159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4. 연구의 방법과 연구 분석의 틀
5. 연구의 제한점

Ⅱ. 이론적 배경
1. Freire의 교육론
가. Freire의 사상적 배경
나. Freire의 교육관
다. Freire의 신자유주의에 대한 관점
라. 소결
2. 신자유주의 교육
가. 신자유주의의 개념과 성립 배경
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전개 과정
다.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의의와 한계
라. 신자유주의 교육의 문제점과 본질
마. 소결

Ⅲ. 교육과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1.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
가. 개화기에서 광복 이전까지의 교육과정
나. 교수요목 시대의 교육과정
다. 교과과정 시대(제1차 교육과정)의 교육과정
라. 교육과정 시대의 교육과정
마. 한국 교육과정의 특성
2. 제7차 교육과정
가.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나. 제7차 교육과정의 성격
3. 2009 개정 교육과정
가.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개괄
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
4. 한국 교육과정사의 비판적 고찰
5. 제7차 교육과정에 내재된 신자유주의적 교육관점
가. 고교 다양화 300 프로젝트: 학교 간 무한 경쟁의 서곡
나. 과목선택권: 선택하는 것인가 선택되는 것인가
다. 늘어나는 과목과 선택되지 못하는 교사들
6.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내재된 신자유주의적 교육관점
가. 집중이수제와 창의적 체험활동: 새로운 부담
나. 누구를 위한 만족도 조사인가: 교원평가
다. 소결

Ⅳ.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Rousseau는 교육을 인간의 잠재적 가능성을 발전시키고 인간의 성장 가능성을 최대로 신장시키도록 돕는 일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아실현의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발현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은 피교육자의 천부적 소질과 능력을 개발하고 신장시켜 인간다운 인간을 형성하는 작용이며 더 나은 사회 개조를 위한 수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우성수, 2008: 19). 그러므로 교육이라는 것은 피교육자의 잠재적 가능성을 개발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교육은 기능적인 면에서 사회의 존속과 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 Natorp는 사람이란 인간사회를 통해서만이 인간이 되는 것이며 사회 없이는 인간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신창호, 2005: 64). Pestalozzi는 교육은 사회 개혁의 수단이라고 보았다(김영봉, 2008: 55). 이처럼 교육은 한 개인의 자아실현이라는 측면에서도 필요하지만, 사회 유지라는 다른 측면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은 결코 사회를 떠나서 살 수 없으며, 사회 안에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상의 영향을 받으며 살아가기 때문이다. 이처럼 교육의 정의는 하나의 고정된 시각으로 살펴볼 수 없으며 그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에게서 교육이 없는 삶을 생각할 수 없고,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한복판에 서 있는 현재 상황에서 교육 없이는 어떤 것도 생각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육을 정치의 수단으로 파악한다면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의 중요성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1980년대 서구 국가들의 복지국가 정책의 실패로 발전의 정체기에 들어선 세계는 위기를 극복할 방법으로 신자유주의 이념을 전면에 내세웠다. 미국의 경우 Reagan 행정부가『위기에 선 국가(A Nation at Risk)』를 공포하며 교육을 국가 안보의 문제로 등장시켰고, 미국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였다(최정문, 2004: 1). 국가 발전을 위해 교육을 통하여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처방을 내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문민정부 시절 5·31 교육 개혁을 통해 ‘세계화와 정보화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을 발표하였다. 문민정부 때부터 우리 사회의 변화를 주도해 온 핵심 개념은 세계화, 정보화, 지식기반 사회이며, 교육개혁, 구조조정, 행정개혁과 같은 변화의 논리는 신자유주의라고 볼 수 있다(이병환, 2002: 151).

참고 자료

2009개정교육과정연구위원회(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총론.
강상구(2008). 신자유주의의 역사와 진실. 서울: 문화과학사.
교육부(1997a). 초·중등학교교육 과정.
______(1997b). 특별활동 교육 과정.
______(1998a). 교육개혁 요람.
______(1998b). 교육 50년사: 1948∼1998.
______(1998c). 초·중·고등학교교육과정 연수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교육과정해설(Ⅰ, Ⅱ, Ⅲ).
교육신문사(2000). 한국 교육 이념 변천사. 557, 4.
김균(2000). “하이에크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안병영․임혁 백 편. 서울: 나남출판.
김기수(1998). 신자유주의 정책과 한국교육의 과제. 우리교육, 8.
김대현·김석우(200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김두정(2000). 광복후의 학교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과 운영의 변천, 평가. 충남대교육발전논집, 21, 65-81.
김병성(1994).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김영봉(2008). 교육학개론. 서울: 서현사.
김영삼(2000). 제7차 교육과정 추진 상황과 해결 과제. 한국교육연구소 주최 「교육과정 개혁의 현주소와 발전방향」에 대한 세미나자료집, 34-46.
김용일(2000). 위험한 실험: 교육개혁의 정치학. 서울: 문음사.
김재춘(2002). 제7차 교육과정의 정치적 성격 분석. 교육학연구, 40, 155-172.
김종서(1998). 교육연구의 방법. 서울: 배영사.
노성환(1983). Paulo Freire의 교육사상에 관한 일 연구: 비판적 의식을 위한 교육.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한교원신문(2003). 내년 초등교원난 심각. 467, 3.
문병현(1996).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회비판이론. 서울: 동녘.
문윤진(2008). 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고등학교 경제교육의 변화.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제윤(2000). 초등학교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경상북도교육청.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4). 교육학 연구사전. 서울: 하우.
손호철(1999). 한국의 권위주의 정치체제와 자본주의의 발전. 서울: 창작과비평사.
송경원(1999). 1990년대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인영(2002). 한국의 신자유주의 교육개혁 비판과 교육공공성 논리의 정당성 탐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신창호(2005). 교육학개설. 서울: 서현사.
심성보(2001). 왜 지금 다시「페다고지」를 읽어야 하는가? 진보평론, 7, 273-288.
심임섭(1999). 시장 원리에 의한 학교체제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병영(2000).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충격과 대응. 서울: 나남출판.
오헌석(1995). 학교선택론의 논리구조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성수(2008). 교육학. 서울: 열린교육.
유상덕(1996). 교육개혁과 교육운동의 전망. 서울: 교육과학사.
윤정일(2000). “국민의 정부 교육지자체와 교육재정 평가”. 국민의 정부 교육 정책에 대한 중간평가. 제35회 교육정책토론회.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이건만(1994). 마르크스주의 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이건만․박진환(2002). Paulo Freire와 대안학교의 교육사상 탐구. 서울: 문음사.
이규환(2002). 교육의 평등화를 지향하는 학제. 교육비평, 7, 96-109.
이근식(2000). “김균의 글에 대한 논평”.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안병영․임혁백편. 서울: 나남출판.
이병환(2000). 한국 대안학교의 특성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봉득(1985). P. Freire의 교육사상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상우(2001).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교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수일(2000). 제7차 교육과정 추진 상황과 해결 과제. 한국교육연구소 주최 「교육과정 개혁의 현주소와 발전방향」에 대한 세미나 자료집, 20-30.
이종원(2000). 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경향. 초등교육연구논총, 16, 대구교육대학교.
이화진(1999). 제7차 교육과정 실행 대비 점검․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정책 연구과제.
임혁백(1997). 시장․국가․민주주의: 한국민주화와 정치경제이론. 서울: 나남출판.
장일순(2005).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과 교육공공성 위기. 성공회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광호(2002). “신자유주의 교육과 고교정책”, 한국정책학의 과거, 현재, 미래. 2002년 (사)한국정책학회 동계학술대회. (사)한국정책학회.
조영철(1998). 국가후퇴와 한국경제 발전모델의 전환, 위기 그리고 전환. 서울: 당대출판.
조형우(2000).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의 성공 조건으로서 교육시민운동. 경제교육연구, 6.
진영은·조인진·김봉석(2007).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서울: 학지사.
천보선(2000). 신자유주의의 총공세와 위기의 공교육. 진보교육, 6, 29-49.
천보선·김학한(1998).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서울: 한울출판사.
최성일(2002). 책으로 만나는 사상가들: 해외 사상가 70명과의 즐거운 만남. 서울: 책동무 논장.
최정문(2004).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교육인식비교: 신자유주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육개발원(2000a). 교육과정 2000 연구개발 수준별 교육과정안.
_____________ (2000b). 교육과정 2000 연구개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체제 구조안.
한혜정(2001). 허스트(P. H. Hirst)의 ‘사회적 실제’의 개념이 교육과정연구에 주는 시사. 한국교육연구, 28.
함종규(2003). 한국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허경철(2001). 제7차 교육과정과 신자유주의. 우리교육, 3.
홍웅선(1989). 한국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 특성. 서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황숙녀(1998). Paulo Freire의 교육이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니노미아 아쯔미(2000). 현대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채만수 역(2000).
http://user.chollian.net/∼purnhanl/a_see/neo-azzmi.htm
Alexeev, V. P. (1986). The origin of the human race. Moscow: Progress Publishers.
Allman, P. (1994). Paulo Freire’s contributions to radical adult education. Studies in Education of Adults, 26(2), October.
_______(2001). Revolutionary social transformation: Democratic hopes, political possibilities & critical education. London: Bergin & Garvey.
Alvarez, E. et al. (1998). Culture of politics, politics of cultures: Re-visioning Latin American social movement. Westview Press.
Apple, M. W. (1979). Ideology & curriculum.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Aronowitz, S. (1993). Paulo Freire’s radical democratic humanism. In P. McLaren. & P. Leonard (Eds.), Paulo Freire: A critical encounter. London & New York: Routledge.
Colins, D. (1977). Paulo Freire: His life, works & thought. New York/
Ramsey/Toronto: Paulist Press.
Elias, J. L. (1976). Conscientization & deschooling. 김성재 옮김(1984). 의식화와 탈학교. 서울: 사계절.
Facundo, B. (1984). Freire-inspired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 Puerto Rico: A critical evaluation. Washington, D.C: Latino Institute.
Freire, P. (1972). Cultural action for freedom. Harmondsword: Penguin.
(1973).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New York: Continuum.
_________(1976). The practice of freedom. London: Writer & Reader Publishing Cooperative.
(1978). Pedagogy in process: The letter to Guinea-Bissau. London: Writer & Readers Publishing Cooperative.
(1985). The politics of education: Culture power & liberation. London: Bergin & Carvey.
(1993). Pedagogy of the city. New York.: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1994). Pedagogy of hope: Reliving pedagogy of the oppressed. New York: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1996). Letter to Cristina: Reflection on my life & work. New York & London: Routledge.
(1998a). Pedagogy of freedom: Ethics, democracy, & civic courage.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1998b). Teacher as cultural works: 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New York: Westview Press.
(2003). Pedagogy of the oppressed(30th anniversary edition). New York: Continuum.
Freire, P. & Macedo, D. (1987). Literacy: Reading the word & the world. London: Bergin & Garvey.
Freire, P. & Torres, C. (1994). Twenty years after pedagogy of the oppressed: Paulo Freire in Conversation with Carlos Alberto Torres. In P. Mclaren (Ed.), Politics of liberation: Paths from Freire. London & New York: Routledge.
Gadotti, M. (1994). Reading Paulo Freire: His life & w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_______(1996). Pedagogy of praxis: A dialectical philosophy of educ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Giroux, H. (1997). Pedagogy & politics of hope: Theory, culture, and schooling. Colorado: Westview Press.
Kemmis, S. & McTaggart R. (1982). The action research planner. Geelong, Victoria: Deakin University Press.
McLaren, P. & Lankshear, C. (Eds.) (1994). Politics of liberation: Paths from Freire. London & New York: Routledge.
Robert, P. (2003). Education, literacy, & humanization: Exploring the work of Paulo Freire. London: Bergin & Carvey.
_______(2003). Pedagogy, neoliberalism & postmodernity: reflections on Freire’s later work.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35(4). 451-465.
Schugurenksky, D. (1998). Legacy of Paulo Freire: A critical review of his contribution. Convergence, 31.
Walker, J. (1981). The end of dialogue: Paulo Freire on politics and education In R. Mackie (Ed.) Literacy & revolution: The pedagogy of Paulo Freire. London: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정*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신자유주의적 교육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Paulo Freire의 교육론을 중심으로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 유니스터디 이벤트
AI 챗봇
2024년 09월 1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9월 1일에 베타기간 중 사용 가능한 무료 코인 10개를 지급해 드립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방송통신대학 관련 적절한 예)
- 국내의 사물인터넷 상용화 사례를 찾아보고, 앞으로 기업에 사물인터넷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술하시오
5글자 이하 주제 부적절한 예)
- 정형외과, 아동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