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쑥의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진*
최초 등록일
2010.03.18
최종 저작일
2006.08
21페이지/ 한컴오피스
가격 2,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쑥의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목차

Abbreviations 2

Ⅰ. 서 론 3

1. Melanin 세포 3
2. Tyrosine 또는 DOPA로부터 melanin 생성 과정 5
3. 자동산화반응의 억제와 melanin 생성 억제
4. 미백제 개발의 초점 7

Ⅱ. 실험 재료 및 방법 8

1. 실험재료 8
2. 시약 및 기기 8
3. 실험 방법 9

Ⅲ. 실 험 결 과

1. 분획 제조 및 정제
2. 생물활성 16

Ⅳ. 결 론

Ⅴ.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2. Tyrosine 또는 DOPA로부터 melanin 생성 과정
사람의 색소포에서 생성되는 melanin은 eumelanin(흑갈색-갈색)과 pheomelanin(적갈색-황색)으로 대별된다. Eumelanin 의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Tyrosinase에 의해 tyrosine이 DOPA를 거쳐 DOPA quinone과의 환원적 호환작용으로 산화되고 DOPA quinone은 자발적으로 endocycle 고리를 형성하여 leuco DOPA chrome으로 된다. Leuco DOPA chrome은 DOPA chrome과의 환원적 호환작용으로 산화되어 DOPA와 DOPA chrome으로 된다. DOPA는 다시 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어 DOPA quinone을 형성하고, DOPA / DOPA quinone 산화 환원 회로가 melanin 생성의 산화적 구동장치로 작용한다. 이어서 DOPA chrome 은 CO2 이탈 반응과 DOPA chrome tattomerase 에 의해 DHICA[5,6-dihydroxyindol carboxylic acid]과 DHI[5,6-dihydroxyindol]로 되며, 이들은 DOPA quinone 이하의 중간 대사물이며, 자동산화반응, 광화학반응, 혹은 tyrosinase, DOPA chrome tautomerase, DHICA-oxidase 등에 의해 촉진된다. 자동산화는 금속이온 특히 Fe, Cu 등의 2가 이온에 의해 촉진된다. 한편 phenomelanim 은 DOPA quinone에 의해 cysteinyl DOPA와 cysteinyl DOPA quinone의 부가물을 경유하여 생성된다.(Fig.6)

3. 자동산화반응의 억제와 melanin 생성 억제
미백제 개발은 주로 tyrosinase 저해 활성에 중점을 두었으나, 현재는 tyrosinase 저해 활성뿐만 아니라 자동산화반응의 억제에도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tyrosinase가 효소적 작용을 나타내는 동안 O2-는 SOD의 작용(H2O2생성)과 전이금속에 의한 Fenton반응을 거쳐 ․OH로 될 수 있다. 이어서 ․OH은 자동산화반응을 개시시켜 melanin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참고 자료

1. Haring VJ. : Regulation of f melanin formation. The pigmentary system of the skin,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xford Press, pp423-438, 1998
2. 과학기술부 編 : 자생식물을 이용한 미백화장품의 개발, 과천, 과학기술부, pp7-27, 2003.
3. 하병조 著 : 기능성 화장품, 서울, 신광출판사, pp10-11,66-84, 2005.
4. 남혜정 외 : 肝斑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9(1):16-23, 1996.
5. 박혜준 외 : 雀斑의 원인, 증상 및 치방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외관과학회지, 1997;10(1):247-262
6. 박지선 외 : 백출추출물이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9;13(2):91
7. 천현자 외 : 음양곽 물추출물이 B16 mouse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약학회지, 2000;44(5):455-462
8. 박지선 외 : B16 melanoma 세포주의 melanin 합성에 대한 西施玉容散의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지, 2001;15(1):73-83
9. 이관순 외 : 天花粉이 melanin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외관과학회지, 2001;14(1):209-225
10. 전병훈 외 : Melanin 합성의 신호전달기전에 미치는 西施玉容散의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지, 2001;15(1):78-83
11. 손동석 외 : 加減西施玉容散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2;15(2):104-117
12 이승연 외 : 더덕 물추출물이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2;10(2):19-21
13. 윤화정 외 : 白芨이 melanin 형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1):100-111
14. 임숙정 외 : 甘草 물추출물이 HM3K0 세포의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2):368-373
15. 조재훈 외 : 鹽, 醋, 香油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2):79-95
16. 임난영 외 : 沙蔘 메탄올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747-753
17. Koch, W.H. and chedekel, M.R.,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of melanogenic metabolites : Formation of free radicals." Photochem. photobiol. 1983;46:229-238
18. Korotowaki, W.,Pilas, B., Sarna, T. and kaltanaraman. B., "Photoinduced generation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in melanins." Potochem. Photobiol. 1987;45:185-190
19. Yoshikane K., Hiroshi K., Koji T., Hiroshi T., "Tyrosinase and Kojic Acid Chelating Complex." Biosci, Biotech Biochem. 1995;59(9):1745-1746
20. Matsuda M., Tejima M., Suzuki M. et al. “Skin lighteners.” Cosmet Toil. 1996;111:65-77
21. Maed K., "Recent studies of melanogenesis and its control." Fragrance J. 1997;25(9):10-18
22. Park N.N., "Skin aging and antioxidant."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1997;23(1):75-132
23. http://kanghwa.sanrimjohap.co.kr/nfcf/kanghwa/frame_shop.htm
24. http://ganghwa.go.kr/sub_3.html?j=2
25. http://www.ganghwa.incheon.kr/pub/tur/turHtmTur03_02_04.jsp?sc
=tur03020400_00
26. http://www.ghmart.com/new_shop/index.php?pgurl=shop/sh_goods_list&ctpose
=AAOAAC&ctno=400
27. Shin, N. H., S. Y. Ryu, E. J. Choi, S. H. Kang, I. M. Chang, K. R. Min, and Y. S. Kim. Oxyresveratrol as the potent inhibitor on dopa oxidase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Biochem. Biophys. Res. Comm. 1998;243: 801-803
28. Ishihara, Y., M. Oka, M. Takemura, K. Yomita, M. Hatori, H. Yamamoto, H. Kamei, T. Miyaki, M. Komish and T. Oki. Melanostain, a new melanin synthesis inhibitor. J. Antibiotics 1991;44:25-32
29. Dooley T. P, R. C. Gadwood, K. Kilgore, and L. M. Thomasco. Development of an in vitro primary screen for skin depigmentation and antimelanoma agent. Skin Pharmacol. 1994;7:188-200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쑥의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24페이지
    쑥의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목 차실험목적 ... from MeoH extract분획별, Tyrosinase activity ... 1, 3, 10HPLC 분리 정제 후, Tyrosinase activity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쑥의 Tyrosinase activity inhibition 무료자료보기
  • AI글쓰기 서비스 오픈
  • 파트너스 등급업 이벤트
AI 챗봇
2024년 08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